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의 차이
세균은, 세포벽, 세포막, DNA나 각종 단백질 등으로 구성되어, 일반적으로 생물의 기본 단위인 세포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세포 구조는 가지고 있지 않고, 유전 정보인 DNA·RNA가 위 루스 내부에 유지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 구조입니다.
박테리아란?
세균이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미생물의 일종입니다.
세균은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지는 단세포 생물로, 세포벽, 세포막, DNA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이러스란?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더 작은 미생물로, 단독으로는 살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전 정보인 DNA나 RNA를 가지고 있습니다만, 세포와 같은 구조는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크기는 세균보다 훨씬 작고, μm의 더욱 1/1000의 단위(nm(나노미터))가 이용됩니다. 바이러스를 보려면 전자 현미경이 필요합니다. 바이러스의 표면에는 스파이크라고 불리는 돌기가 있어, 이것을 사용해 인간의 세포에 침입합니다.
인간의 체내에 침입해 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나 노로바이러스 등이 알려졌지요.
그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바이러스가 존재하며, 각각 다른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크게 2가지로 분류됩니다. 표면 단백질의 외측에 엔벌로프라고 불리는 지질 이중막(엔벌로프)을 가지는 엔벌로프 바이러스와, 없는 비엔벨로프 바이러스가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구조와 각 부위의 기능
1. 핵산
바이러스는 유전 물질로 DNA 또는 RNA 중 하나의 핵산을 갖고 있습니다.
이 핵산에는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유전 정보가 암호화되어 있으며,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세포를 감염시키고 자신의 단백질을 합성하기 전에 게놈 복제가 선행되어야 할 수 있습니다.
2. 캡시드
캡시드(단백질 껍질)는 바이러스의 게놈을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외부의 다양한 효소(예: 핵산 분해효소)로부터 유전 물질을 안정화시킵니다.
캡시드는 바이러스의 기본적인 구조를 이루는 요소 중 하나로, 바이러스의 형태와 감염 특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3. 엔벌로프
엔벌로프(envelope)는 일부 바이러스 입자가 감수성 세포에 부착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엔벌로프 내부의 단백질은 바이러스 자체에서 생성되지만, 지질 성분은 숙주 세포의 세포막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이 때문에 바이러스의 엔벌로프는 숙주 세포의 막과 유사한 구조를 가집니다.
일반적으로 엔벌로프를 가진 바이러스는 알코올이나 비누처럼 지질을 용해할 수 있는 소독제에 쉽게 파괴되며, 반대로 엔벌로프가 없는 바이러스는 비교적 저항성이 강해 불활성화되기 어렵습니다.
엔벌로프 바이러스에는 신형 코로나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이 있습니다. 비엔벨로프 바이러스에는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등이 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RNA를 유전자로 가지고 스파이크 단백질이 왕관처럼 보이기 때문에 '코로나바이러스'라고 명명되었습니다.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구조의 차이
1. 크기
세균도 바이러스도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작습니다. 세균의 크기는 약 1㎛(마이크로미터) 1mm의 1/1000의 단위)~약 10μm로 , 현미경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세균의 약 1/1000~1/100의 크기로, μm의 더욱 1/1000의 단위, nm(나노미터)이 이용됩니다 .
2. 유전자
세균에는 자신의 자손을 만들기 위한 정보를 가진 유전자(DNA)가 있습니다. 바이러스에도 마찬가지로 유전자(DNA, RNA)가 있습니다.
3. 증식 방법(자율 증식 여부)
세균은 적절한 환경과 영양, 물만 있으면 자율 증식이 가능합니다.
한편, 바이러스는 유전자는 가지고 있습니다만, 세균과 달리 세포 분열에 필요한 성분을 만드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자율 증식할 수 없습니다.
4.약물의 효과 방법
세균은 생물로서 살아 늘어나는 것이므로, 예를 들면 항생물질 등 생존·증식을 억제하는 약제가 효과가 있습니다만, 바이러스는 생물보다 물질에 가깝기 때문에 항생 물질이 효과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