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

지질 수송 1. 외인성 경로와 내인성 경로 리포 단백질에 의한 지질의 수송에는 식사 유래의 지질을 운반하는 킬로미크론을 통한 외인성 경로와 간에서 합성한 지질을 운반하는 VLDL을 통한 내인성 경로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외인성 경로 식사 유래 지질은 소장에서 소화 흡수된 후 킬로미크론을 형성하여 림프관에서 전신 조직으로 운반됩니다. 킬로미크론은 모세혈관을 흐를 때 모세혈관 세포막 위에 있는 리포 단백질 리파아제(LPL)를 활성화함으로써 킬로미크론 내 트라이아실글리세롤(중성지방)이 지방산과 글리세린으로 분해됩니다. 이렇게 해서, 식사 유래의 지질(대부분 중성지방)은, 킬로미크론과 LPL의 작용으로 지방산으로서 전신의 조직에 공급되어 가는 것입니다. LPL의 작용을 받은 킬로미크론의 경우 점점 작아지게 됩니다... 2025. 6. 29.
콜레스테롤과 리포 단백질 1.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이란 스테로이드로 분류되는 스테롤이라고 불리는 유기화합물의 일종으로 아래 그림과 같은 3개의 6원환과 1개의 5원환이 연결된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동물에서 콜레스테롤은 생체막을 구성하는 지질로서 생체막의 유동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콜레스테롤은 담즙산이나 스테로이드 호르몬(비타민D나 코르티솔 등)의 전구체로도 매우 중요한 물질이 되고 있습니다. 콜레스테롤은 스테롤의 일종이기 때문에 C-3에 하이드록시기를 가지고 있지만 이것 외에 극성이 있는 기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콜레스테롤은 양친매성의 글리세로인지질이나 스핑고지질보다 소수성이 강한 화합물로 생체막을 구성할 때는 글리세로인지질이나 스핑고지질이 형성한 지질 이중층 사이에 매립되도록 해서.. 2025. 6. 29.
필수지방산과 에이코사노이드 1. 지방산의 종류와 분류 1) 지방산이란 지방산이란 일반식 R-COOH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사슬의 말단에 카르복시기(-COOH)를 가진 카르복실산을 말합니다. 지방산은 크게 탄화수소 사슬에 이중 결합(C=C)을 포함하지 않는 포화지방산과 이중 결합(C=C)을 포함하는 불포화지방산의 2종류로 분류됩니다. R은 탄화수소로, C(탄소)와 H(수소)만으로 구성된 구조를 말합니다. 지방산은 친수성 머리와 소수성 꼬리를 가진 양친매성 물질이기 때문에 계면활성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세포 내 유리지방산의 존재량은 극단적으로 적고, 평상시에는 트리아실글리세롤(중성지방)의 형태로 축적함으로써 고농도의 유리지방산에 의한 세포막의 파괴를 막고 있습니다. 유리지방산의 증가는 인슐린의 효과가 나빠지는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는.. 2025. 6. 29.
지질의 구조와 성질 1. 지질의 구조와 성질 지질은 에너지원이나 생체막의 구성요소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필수지방산을 기초로 만들어지는 에이코사노이드 등 생리활성물질로서도 생체 내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최근에는 지방산 자체가 리간드로서 신호 전달에 관여하고 있는 것도 알려져 있습니다. 2. 지질이란 지질이란 일반적으로 '물에 녹지 않거나 잘 녹지 않는 유기화합물'을 말합니다. 우리 인간을 포함한 동물은 지질을 에너지원으로 저장하고 있는데, 그것은 지질의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입니다(9kcal/g). 생체 내에서 저장되는 지질이나 식사로 섭취하는 지질 대부분은 트리아실글리세롤(중성지방)입니다. 3. 지질의 분류 지질은 크게 단순 지질, 복합지질, 유도지질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단순 지질단순 지질이란 알코.. 2025. 6. 27.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와 개요 1. 크로마토그래피란? 크로마토그래피란, 어느 물질을 분리·정제하는 방법의 하나로, 서로 섞이지 않는 2개의 상인 고정상과 이동상을 이용하여, 2종류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단일의 물질을 분리·정제할 수 있는 수법입니다. 2. 크로마토그래피 분류 크로마토그래피는 고정상과 이동상의 2개의 상을 이용한 분리·정제를 합니다. 크로마토그래피에는 고정상의 지지체의 차이에 의한 분류의 방법과 이동상의 차이에 의한 분류의 방법이 있습니다. 1) 이동상의 차이에 의한 분류 이동상의 차이에 의한 분류에서는 이동상이 기체인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와 이동상이 액체인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C)의 2종류가 있습니다. 2) 고정상의 차이에 의한 분류 고정상의 지지체의 차이에 의한 분류에서는 고정상을 컬럼이라고 불리는 통에 충.. 2025. 6. 27.
단백질의 정량법(BCA법, Bradford법, Lowry법) 단백질 농도 측정 방법에는 BCA법, Bradford법, Lowry법 등이 있습니다. BCA법이나 Lowry법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뷰렛 반응을 이해하고 있어야합니다. 1. 뷰렛 반응 뷰렛 반응이란 알칼리성 조건에서 3개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혹은 단백질)가 2가의 구리 이온(Cu(Ⅱ))와 복합체(킬레이트)를 형성함으로써 2가의 구리 이온(Cu2+)이 1가의 구리 이온(Cu(Ⅰ)로 환원되어 용액의 색이 적자색으로 정색 되는 반응을 말합니다. 이때의 적자색으로 표시하는 색의 농도는 단백질의 농도(펩타이드 결합의 수)에 의존하므로 이 색의 농도(540nm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의 정량에 이용되는 BCA법이나 Lowry법은 이 뷰렛 반응.. 2025. 6. 27.